2025 한국갤럽학술논문상 심사 결과
사회조사 및 통계 분야 전문학술단체인 한국조사연구학회(회장 박인호 부경대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조사연구 분야의 발전을 도모하고, 조사를 바탕으로 한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지식정보화 사회로 나아가는데 기여하고자 (주)한국갤럽조사연구소의 후원으로 2003년에 “한국갤럽학술논문상(Gallup Korea Award)”을, 이어서 2004년에는 “한국갤럽박사학위논문상(Gallup Korea Dissertation Award)"을 제정하였다.
사회과학 전반, 통계학, 조사실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난 2024년 한 해 동안 출간된 학술논문 및 박사학위논문을 응모 또는 추천받아 홍두승 심사위원장 외 17명의 심사위원들의 엄격한 심사절차를 거쳐 한국 사회조사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고 평가된 수상작을 선정하였다. 2025년도 학술논문상 수상작으로 2편, 박사학위논문상 3편을 선정하였다. 2025년부터 최우수상과 우수상의 구분이 사라졌기에, ‘학술논문상’과 ‘박사학위 논문상’으로 명명한다.
▷ 시상식
1) 장소: 대한상공회의소
2) 일시: 2025년 5월 30일 금요일
▷ 심사대상 논문 및 심사과정
한국갤럽학술논문상의 경우 2024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지와 SCI, SSCI급 학술지에 게재되었거나 이와 동등한 수준의 해외 학술전문지에 게재된 논문을 심사대상으로 하였다. 저자가 직접 응모하거나, 동일 전공의 전문가들이 우수하다고 추천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응모 및 추천 기간은 2025년 3월 12일부터 4월 9일까지였다. 전체 심사대상 논문은, 학술논문상 분야 총 45편, 박사학위논문상 분야 총 15편이었다.
심사대상 논문의 영역을 살펴보면, 사회학, 경제학, 행정학, 정치학, 언론학, 사회복지학, 노년학, 교육학, 심리학, 보건학, 경영학, 소비자학, 마케팅, 광고학, 관광학, 조사방법 및 기법(무순)등 매우 다양하였다.
심사결과, 2편의 논문이 한국갤럽학술논문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상작으로는 1) 동적 베이즈 다당제 모형을 이용한 대한민국의 대통령 선거 예측 연구, 2) 부모와 디자이너가 함께하는 공동디자인이 아동의 간식 섭취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 논문이 선정되었다,
한국갤럽박사학위논문상의 경우, 2024년 3월부터 2025년 2월까지 국내대학에서 수여된 박사학위 논문을 대상으로, 지도교수의 추천을 받아 응모하였다. 응모기간은 한국갤럽학술논문상과 동일하였으며, 접수된 논문들의 영역은 사회학, 행정학, 보건학, 간호학, 건축학, 경영학, 관광학, 소비자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었다.
심사결과, 3편이 한국갤럽박사학위논문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상 학위논문으로는 1) 한국사회의 고질적이고, 점점 고착화되는 불평등 문제를 세대 간 지위의 전달 과정을 검토하여 경험적으로 규명하는 연구, 2) 지루함이라는 불쾌한 정서가 인간의 짝짓기 및 생활사 전략 맥락에서 어떻게 적응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흥미롭게 탐구한 연구, 3) 인공지능 상품추천 기술이 소비자의 쇼핑 경험과 자율성 실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한 연구이다.
▷ 심사위원
심사위원장: 홍두승 서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위원: 강상경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권일웅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김광기 인제대 보건대학원 명예교수
김영원 숙명여대 통계학과 교수
김영찬 연세대 경영학과 교수
김재구 명지대 경영학과 교수
김진우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
박민규 고려대 통계학과 교수
박인호 부경대 통계학과 교수
유창조 동국대 광고학과 교수
이기재 한국방송통신대 통계·데이터과학과 교수
이기종 국민대 교육학과 명예교수
이명진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
장승민 성균관대 심리학과 교수
최현자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
하상응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가나다순)
▷ 논문심사기준
1) 심사원칙: 논문의 완성도, 기여도, 창의성, 구성 및 표현력이 우수한 논문.
2) 심사세칙:
★ 원칙적으로 주저자(또는 제1저자)의 소속이 국내 기관(대학, 연구소 등)이어야 함
★ 연구자 자신이 직접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논문, 자료수집방법이 뛰어나거나 획득하기 힘든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한 논문, 분석방법이 타 연구의 모범이 될 수 있는 논문에 가점
★ 심사위원이 단독 또는 공동저자로 참여한 논문은 제외
★ 특정 전공이나 특정 학술지에 편중되지 않도록 함
▷ 수상논문
[학술논문상]
강승우(서울대), 오희석(서울대). 2024. “Forecasting South Korea’s presidential election via multiparty dynamic Bayesian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casting 40(1):124-141.
원세화(경기대), 2024. “Co-design with parents and designers: developing packaging concepts for children.” Co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CoCreation in Design and the Arts 20(4): 718-741.
[박사학위논문상]
고원태. 2024.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자녀의 성취: 생애과정 접근을 통한 가족 배경의 전달과 누적.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지도교수: 김영미.
김가람. 2024. 인간의 짝짓기와 삶에서의 지루함: 기능적 관점을 바탕으로.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지도교수: 최은수.
조은선. 2024. 인공지능 상품추천 기술과 소비자 자율성 실현 연구.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지도교수: 나종연.



